어미는 용언뒤나 지정사(서술격조사)뒤 사용되는 의존형태소이다. 학교문법에서는 어미를 따로 형태소로 분리하지 않으나 일반적인 형태소 분석기는 어미도 분리한다. 


 어미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. 

  선어말 어미 : 높임말을 나타내는 -시-,  -옵- , 시제를 나타내는 -았-, -는-  같은 것이있다. 이런 선어말어미는 일반적인 어미앞에 나타날 수 있다.

  연결어미 :  -고,  -거든   같이 문장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고 이어지게 하는 어미이다.

      이 연결어미내에서 이어지는 방법에 따라서 대등적연결어미, 종속적 연결어미, 조적 연결어미로 나누기도 한다.

대등적 연결어미는 연결어미를 사용할 나열, 대조, 선택 같은 것을 사용하게 했을 때이고 종속적 연결어미는 앞 절이 뒷 절에 대해 종송적인 의미관계를 갖게 하는 어미이다.

보조적 연결어미는 본용언 어간에 보조 용언을 연결하는 어말 어미이다.

  

 종결 어미 : 문장이 종결될 때 사용되는 어미이다. 대표적으로 다, 나, 까 같은 것이 있다.


전성어미 : 용언뒤에 붙어 용언이 명사나 관형사 처럼 작용할 수 있는 형태소를 바꾸는 어미이다.

명사형 전성어미,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있다. 명사형 전성어미는 -ㅁ, -음, -기 같은 것이 있다. "먹" 이라는 동사에 "기"라는 전성어미가 붙으면 "먹기"가 된다. 물론 이 단어 자체를 명사로 분류할 수도 있다. 비슷하게 "음" 을 이용하면 "먹음" 이런 명사처럼

    관형사형 전성어미는  -ㄴ, -는 같은게 있다. "먹"이라는 동사에 "는"을 붙이면 "먹는" 이라고 해서 체언을 꾸밀 수 있는 어절을 만들 수 있다. 체언을 꾸밀 수 있기 때문에 관형사이다. (부사는 용언과 다른 부사를 꾸밀 수 있다. )


세종 말뭉치에서 분석해 둔 것을 보니 어미의 경우 복합어미처럼 보일 지라도 단일하게 분석해 두었다. 내가 만드는 형태소 분석기도 이렇게 만들 생각이다. 


용언과 어미를 분리할 때는 저번에 포스팅한 불규칙활용을 고려해서 판단해야 한다. 


또 하나 조심해야 하는 것은 음운 축약 형태이다. "가" 라는 어절은 가/VV+아/EF 의 형태가 축약된 형태이다. 이와 유사하게 "와"는 오/VV+아/EF 가 축약된 형태이다. 

 첫번째는 한국어 맞춤법 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 5절 준말(https://www.korean.go.kr/front/page/pageView.do?page_id=P000072&mn_id=30) 내에 있는 "제34항모음 ‘ㅏ, ㅓ’로 끝난 어간에 ‘-아/-어, -았-/-었-’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." 부분이 적용된 것이다. 두번째 예는 "제35항모음 ‘ㅗ, ㅜ’로 끝난 어간에 ‘-아/-어, -았-/-었-’이 어울려 ‘ㅘ/ㅝ,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." 의 규칙이다. 


한국어 맞춤법 제4장  제 5절에 있는  모음 규칙에 있는 것에 대해서도 어간, 어미에 대해 분리 할 수 있어야 한다. 






 참고 : http://tip.daum.net/question/83687400 

         https://blog.naver.com/zzangdol57/30169103790